2025년 공휴일 한눈에! 대체공휴일까지 완벽 정리
본문 바로가기
생생정보

2025년 공휴일 한눈에! 대체공휴일까지 완벽 정리

by 키드. 2024. 12. 30.

다가오는 2025년은 공휴일을 활용해 알찬 한 해를 보낼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대체공휴일 제도, 연차 사용 전략, 그리고 황금연휴를 포함하여 2025년의 공휴일 계획을 세워보세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의 모든 공휴일 정보를 정리하고, 효과적인 휴일 활용 팁을 제공합니다.

728x90


1. 2025년 공휴일 전체 목록

 
2025년은 법정공휴일 15일과 주말을 포함한 휴일 119일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대체공휴일이 적용되는 날도 있어 긴 연휴가 가능합니다. 먼저 월별로 공휴일을 살펴보겠습니다.

1월 (신정, 설날 대체공휴일)
● 1월 1일 (수): 신정
● 1월 28일, 29일, 30일 : 설날 연휴
  ● 설날과 관련하여 대체공휴일이 적용되어 평일 연휴가 길어집니다.
 
3월 (삼일절 대체공휴일)
● 3월 1일 (토): 삼일절
● 3월 3일 (월): 대체공휴일
  ● 삼일절이 토요일이므로 월요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됩니다.

5월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 5월 5일 (월): 어린이날
● 5월 6일 (화): 석가탄신일
  ● 어린이날과 석가탄신일이 연달아 있어 월요일과 화요일 연속으로 쉴 수 있습니다.
 
6월 (현충일)
● 6월 6일 (금): 현충일
  ● 현충일이 금요일로 지정되어 3일 연속 쉬는 것이 가능합니다.
 
8월 (광복절)
● 8월 15일 (금): 광복절
  ● 주말과 붙어 있어 긴 연휴를 계획할 수 있습니다.

10월 (개천절, 추석, 한글날)
● 10월 3일 (금): 개천절
● 10월 5일, 6일, 7일: 추석 연휴
● 10월 9일 (목): 한글날
  ● 개천절과 추석 연휴, 한글날이 모두 포함된 주에는 대체공휴일까지 최대 10일 연속 쉬는 것이 가능합니다.
 
12월 (성탄절)
● 12월 25일 (목): 성탄절
  ● 성탄절이 목요일로 지정되어 금요일 연차를 사용하면 4일 연속 휴무를 즐길 수 있습니다.


2. 2025년 대체공휴일 제도

2025년에는 주말과 겹치는 법정공휴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됩니다. 이를 통해 평일 휴무일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 대체공휴일 적용 대상: 설날, 추석, 어린이날
● 적용 규칙: 공휴일이 주말에 포함되면 다음 평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됩니다.
 
2025년 대체공휴일 요약
● 삼일절 대체공휴일: 3월 3일 (월)
● 어린이날,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 5월 6일 (화)
● 추석 대체공휴일: 10월 8일 (수)


반응형

3. 2025년 황금연휴 완벽 활용법 

 

1월: 설날 황금연휴
● 1월 28일(화)부터 30일(목)까지 설날 연휴입니다. 여기에 31일(금)을 연차로 사용하면 총 6일의 긴 연휴가 가능합니다.
● 추천 활동: 가족과의 시간, 국내외 여행, 새로운 목표 설정

5월: 4일 연속 휴무
● 5월 5일(월) 어린이날과 6일(화) 석가탄신일이 연달아 있어 월요일부터 화요일까지 연속으로 쉬는 것이 가능합니다.
● 추천 활동: 봄 나들이, 단거리 여행

10월: 최대 10일 연속 휴무
● 10월 3일(금) 개천절과 5일(일)~7일(화) 추석 연휴, 9일(목) 한글날을 포함하면 최대 10일 연속 휴가를 계획할 수 있습니다.
● 추천 활동: 장거리 해외여행, 힐링 휴가


4. 연차 사용 팁: 알차게 쉬는 법

 

연차 사용 추천 일정
● 1월: 설날 연휴 다음 날인 1월 31일(금)에 연차 사용 → 6일 연휴
● 5월: 5월 2일(금) 또는 7일(수) 연차 사용 → 5일 연속 휴무
● 10월: 10월 4일(토), 6일(월), 8일(수)에 연차 사용 → 최대 10일 연속 휴무

 

효과적인 연차 사용 전략
● 주말과 공휴일 사이의 날짜에 연차를 사용하면 연속 휴무일이 늘어납니다.
● 미리 연차 계획을 세우고 회사 내부 스케줄을 확인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5. 2025년 공휴일 캘린더


2025년 공휴일을 캘린더 형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6. 2025년 공휴일에 대한 궁금증 FAQ


Q1. 2025년 공휴일은 몇 일인가요?
A. 2025년 법정공휴일은 총 15일입니다. 여기에 주말(토요일, 일요일) 휴일 104일을 포함하면 총 휴일은 119일입니다. 대체공휴일이 포함된 날은 법정공휴일에 속합니다.

Q2. 대체공휴일이 적용되는 날은 언제인가요?
A. 대체공휴일은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경우 평일로 대체되어 적용됩니다. 2025년에는 다음과 같은 공휴일에 대체공휴일이 적용됩니다:

삼일절: 3월 1일(토요일) → 대체공휴일 3월 3일(월요일)
부처님오신날: 5월 5일(월요일) → 대체공휴일 5월 6일(화요일)
추석 연휴: 10월 5일(일요일) → 대체공휴일 10월 8일(수요일)

 

Q3. 대체공휴일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나요?
A. 네, 대체공휴일은 법정공휴일 중 주말(토, 일요일)과 겹칠 때만 적용됩니다. 평일 공휴일이 있는 경우에는 대체공휴일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현충일(6월 6일): 금요일 → 대체공휴일 적용 안 됨.
광복절(8월 15일): 금요일 → 대체공휴일 적용 안 됨.

 

Q4. 2025년 설날 연휴는 며칠인가요?
A. 설날 연휴는 **1월 27일(월)부터 1월 29일(수)**까지입니다. 하지만 주말과 겹치지 않으므로 대체공휴일은 없습니다.
연차를 사용하면 5일 이상의 긴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Q5. 2025년 추석 연휴는 어떻게 구성되나요?
A. 추석 연휴는 **10월 5일(일)~10월 7일(화)**까지입니다. 추석 당일이 월요일(10월 6일)로, **10월 8일(수)**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됩니다.

연차를 사용하면 최대 6일의 연휴가 가능합니다.

Q6. 2025년은 황금연휴가 많나요?
A. 네, 2025년에는 황금연휴를 계획할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1월 설날 연휴: 연차를 사용하면 최대 5일 연속 휴가 가능.
5월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 포함 4일 연속 휴가 가능.
10월 개천절, 추석 연휴, 한글날: 최대 9일 이상의 연속 휴가 가능.

 

Q7.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이 겹쳤는데, 대체공휴일이 있나요?
A. 네, 2025년 어린이날(5월 5일)과 부처님오신날(5월 5일)이 같은 날로 겹칩니다. 이에 따라 **대체공휴일 5월 6일(화요일)**이 추가로 지정됩니다.

Q8. 공휴일에 근무하면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공휴일에 근무하는 경우 근로기준법에 따라 추가 수당(최소 50% 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회사와의 계약이나 근로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Q9. 2025년 공휴일로 여행 계획을 세우려면 언제가 좋을까요?
A. 아래 기간을 추천합니다:

1월 말: 설날 연휴 활용, 국내외 여행 가능.
5월 초: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 연휴 활용, 봄철 국내 여행 추천.
10월 초: 추석과 한글날 연휴 활용, 장기 해외여행 가능.

 

Q10. 대체공휴일에 관한 규정은 무엇인가요?
A. 대체공휴일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적용됩니다. 주말(토요일, 일요일)과 겹치는 공휴일을 다음 평일로 지정하여 국민의 휴식권을 보장합니다. 이 제도는 점차 확대되어 더 많은 휴식을 제공합니다.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